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

1970 년대 국군과 북한군의 실상 비교 1.누가 그랬다. 군대는 시대를 말해준다고군필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거다."요즘 군대는 군대도 아냐"라는 말.한달만 빨라도 그런말한다.나도 예전엔 그냥 꼰대식 농담인 줄 알았다.근데 1970년대 군대 얘기를 제대로 듣고 나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그 시절 한국군은 한마디로 ‘버텨야 하는 곳’이었다.복무기간은 33개월.거의 3년 지금보다 너무 긴 복무였다.미군이 쓰다 버린 장비에, 맞지도 않는 군복. 훈련은 고되면서도 장비는 늘 부족했다.겨울엔 난방이 안 돼서 담요 두 장에 온몸을 돌돌 감고 자야 했단다.그 와중에 훈련 나가면 땅은 꽁꽁 얼어 있고, 구보는 10km가 기본.휴가? 간부 눈치 잘 봐야 갈 수 있었고, 편지는 가끔 오고, 간혹 답장 오고.그 시절 ‘전우애’는 말이 아니라, 말 그대로 생존.. 2025. 4. 20.
1960년대, 한국군과 북한군 똑같이 군복을 입은 젊은이들이지만 전혀다른현실1960년대는 한국전쟁이 끝난 지 얼마 안 된 시기였지만,그 분위기는 전혀 끝나지 않은 전쟁의 연장선이던 시대였습니다.총성만 멈췄을 뿐, 휴전선은 늘 긴장 상태였고남쪽과 북쪽 군대는 매일 같이 훈련하고, 대비하고, 견제하고 있었습니다.실제로 총을 맞대고 싸우는 일은 드물었지만,한 발짝만 다가가면 보이는 건 너무나 달랐습니다.오늘은 그 시절,한국국군과 북한인민군의 ‘실상’을겉과 속, 체계와 문화, 정신과 생활 면에서 차분히 비교해 보려 합니다.1. 복장과 군장비 – 깔끔한 한국군 vs 실전형 북한인민군**한국군(국군)**은 미국의 군사지원을 받아 장비 상태가 꽤 훌륭한 편이었습니다.군복은 주로 올리브색 계열에 가까운 야전복이었고,철모(M1 헬멧), 가죽끈 군화,.. 2025. 4. 19.
한국 전시 한국군 vs 유엔 군 군복 비교 (색상, 재질, 구조) 군복이 그냥 유니폼 아닙니다.전쟁터에선 그게 진짜 생명이었습니다.1950년대 한국전쟁 당시, 국군이랑 유엔군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싸웠지만, 그들이 입고 있었던 군복은... 솔직히 말하면, 하늘과 땅 그정도로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완전 달랐습니다.색깔도 다르고, 재질도 다르고, 입었을 때 느껴지는 편안함도 달랐습니다..이걸 말로만 설명하려니 좀 그런데, 그래도 한번 풀어보겠습니다1.군복 색으로 구별되는 한국군과 유엔군국군은 주로 카키색 계열을 입었습니다.그냥 탁한 흙색. 보기엔 군인 같긴 한데, 위장이라고 할수도 없는 그냥 옷에 불과했습니다.산속에선 좀 눈에 띄었고, 평지에서도 먼지가 붙으면 금방 때가 타서 밝아져버렸습니다.당시엔 염색 기술이 별로 없어서, 몇번 세.. 2025. 4. 19.
1950년 전선별 군 복장 특성 비교 1950년대는 한국전쟁이라는 격변 속에서 군인들의 역할과 복장이 극명하게 드러난 시기입니다. 당시 군복은 단순한 유니폼을 넘어, 전투 효율과 생사를 넘나드는 삶과 죽음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1950년대 한국군 복장의 역사와 전쟁 속 장비 변화, 그리고 복장의 스타일 측면까지 재조명해보겠습니다.1.전쟁 속 군복의 역할1950년대 군복은 단순한 의류가 아닌 ‘생존 장비’에 가까웠습니다. 6·25전쟁은 급박하게 발발했으며, 국군은 전시 준비가 전혀안된 무방비상태에서 전투에 돌입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군복의 종류, 수량, 품질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이는 작전 수행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초기 한국군은 미군의 군복과 장비를 일부 전수받았지만, 국내에서 자체 생산된 군복도 많이 착용했습.. 2025. 4. 19.
1950년대 한국군인 복장 재 조명 (복장, 역사, 근무) 1950년대는 한국전쟁이라는 거대한 역사적 사건과 함께 대한민국 국군의 정체성과 체계를 형성해나가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의 군복과 군인의 근무환경은 단순한 복장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전쟁과 병영생활의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합니다. 지금 우리가 보는 군복의 시작점이 바로 이 시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본 글에서는 1950년대 한국군의 복장, 역사적 배경, 그리고 당시 근무 실태를 중심으로 깊이 있는 내용을 살펴보도록겠습니다.1.복장: 1950년대 한국군인 군복의 특징과 구성1950년대 한국군의 군복은 대부분 미국에서 공급된 원조 물자에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 국군은 체계적인 복장 규정이 정비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미군의 군복, 장비, 모자.군화 등을 그대로 착용하거.. 2025. 4. 19.
1970년대 군복 재 조명 (복장, 환경,역사) 1970년대는 대한민국이 군사정권 하에 있던 시기로, 국방과 군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았던 시대였습니다. 당시 군인의 복장은 단순히 제복의 의미를 넘어서, 군기와 국가의 위상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970년대 대한민국 군인의 복장 특징, 근무환경, 그리고 당시 역사적 배경을 통해 군복의 변천사를 깊이 있게 조명해보겠습니다.1.복장 - 1970년대 군복의 외형과 구조1970년대의 군복은 지금과 비교해보면 기능성보다는 상징성과 군기 유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주로 카키색의 두꺼운 면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여름과 겨울 복장의 구분은 있었지만 통기성이나 방한 기능은 다소 부족했습니다. 특히 군복은 병사들의 계급과 소속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옷깃에 .. 2025. 4. 18.